D2022111754


  • 성별(중성화)

    암컷 / 중성화 O

  • 추정나이

    2014년생 추정

  • 몸무게

    7.8kg

  • 털색

    브라운화이트


친화도
활발함
타동물친화

YES

어린이친화

YES

히스토리

[구조] 대한민국 번식장 폐쇄 캠페인 : 루시 프로젝트 2022.12.20.




| 2022년 / 대한민국의 허가 번식장


루시 프로젝트는? 


강아지와 고양이의 복지는 등한시 한 채 번식장에서 여러 품종의 어린 동물을 받아 백화점식으로 진열 판매하여 막대한 이익을 취해온 펫숍 영업을 금지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루시 프로젝트는 책임 있는 브리더가 번식시킨 어미와 한배 새끼들과 지내는 건강하고 사회화된 아기동물을 지내고 있는 곳에서 직접 분양받도록 규정합니다. 따라서 딜러에 의한 인터넷 판매는 물론 펫숍의 법적 금지가 이 프로젝트의 목표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은폐된 번식장의 동물학대를 막을 수 있으며 펫숍으로 가는 발걸음을 보호소 입양으로 돌릴 수 있습니다. 또한 그간 동물복지를 등한시 하고 판매 이익에만 열을 올려온 펫숍 매매 금지로 소비자도 동물학대에 가담하지 않게 됩니다. 이렇듯 루시법은 보호자와 반려견 양자에게 좋은 법과 제도를 찾아가는 매우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왜 루시법(LUCY’s law)인가? 


2013년 영국의 번식장에서 ‘루시’가 구조되었습니다. 루시는 6년간 반복된 임신과 출산으로 척추가 휘고 뇌전증과 관절염을 앓다 사망했습니다. 영국의 동물단체 Pup Aid에서 사망한 ‘루시’를 통해 공장식 번식의 문제를 사회에 알려 나갔고 많은 단체와 시민의 동참 끝에 10년 캠페인의 결실로서 루시법이 제정되기에 이릅니다.



영국 루시법(Lucy’s law)에 따라 영국의 펫숍에서는 6개월령 미만의 강아지와 고양이의 판매가 금지되었으며 전문 브리더에 의해 번식된 2개월령 이상의 동물만 어미와 함께 있는 상태에서 직접 대면에 의해서만 판매할 수 있습니다. 제 3자 거래가 전면 금지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아기동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장식 번식 행위와 펫숍이 사실상 금지된 것입니다.



| 대한민국의 허가 번식장에서 죽어간 루시(왼쪽)와 영국의 번식장에서 구조된 루시(오른쪽)



한국 루시법 왜 필요한가? 


우리나라는 2008년 동물생산업이 등록제로 제도권으로 포섭되었고, 2017년 동물보호법 개정으로 ‘허가제’로 강화되었습니다. 그러나 ‘허가’를 통해 동물이 보장받는 것은 없습니다. 번식과 판매를 일원화하지 않고 펫숍 영업을 분리 허용하는 한, 번식장의 참상은 제어되지 않을 것입니다. 동물권행동 카라는 2013년 보고서에서 번식과 판매의 일원화를 이미 강력히 주장한 바 있습니다. 펫숍은 허가제로 전환이 필요한 게 아니라 사라져야 합니다. 하여 동물권행동 카라는 강아지 공장을 철폐하고 펫숍을 통한 아기동물 판매를 금지하는 <한국 루시법>을 추진하려고 합니다.



한국 루시법 주요 내용
▷ 펫숍(경매장)의 동물 매매 금지
▷ 반려동물 인터넷 거래 및 매매 금지
▷ 자격있는 브리더에 의한 번식과 모견(묘)과 자견(묘)의 상호작용 및 사육환경 확인 후 영업장에서의 직접 분양만 허용
▷ 종모견 개별 등록 및 연간 판매 마릿수 제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