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진/영상을 클릭해주세요!
| 3월 8일
| 3월 5일
| 3월 3일
| 2월 28일
| 2월 2일
| 1월 18일
라비는 어느 날 한 마을에 버림받았습니다. 마을에 반려견을 키우는 주민들 덕분에 마당개들 밥을 얻어먹으며 목숨을 겨우 부지할 수 있었지만, 점점 길어지는 털에 오물과 분뇨가 엉키는 것은 막을 수 없었습니다.
카라는 제보를 받고 현장을 찾아 라비를 안전하게 구조해 병원으로 이동했습니다. 검진 결과는 생각보다 심각했습니다. 심장사상충 양성과 대퇴골 탈구, 또 어디서 사고가 났는지 골반 골절의 흔적도 발견되었습니다. 오물과 분뇨가 엉켜 갑옷처럼 단단해진 털은 클리퍼로 제거할 수 없어 활동가들이 여럿 모여서 가위로 일일이 걷어내야 했습니다. 그 털의 무게만 400g에 달했습니다.
라비는 계류장에서 2주간의 계류기간을 보낸 후 더봄센터 사무실로 입소했습니다. 계류장에서는 혼자 있는 것이 두려웠는지, 새로운 환경이 익숙하지 않았는지 밥을 잘 먹지 않아 걱정을 안겼던 라비이지만, 지금은 밝은 모습으로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마을에서 떠돌 당시에는 사람 손을 피한다는 제보가 있었지만, 사무실에서는 애교가 넘치는 라비입니다. 사무실을 들어가면 안전문 앞으로 나와 꼬리 치며 반겨주고, 손을 뻗으면 만져달라며 얼굴을 비빌 정도로 사람을 좋아합니다.
사무실에서 일을 보고 있으면 라비가 변을 보기 위해 자세를 취하는 모습을 자주 봅니다. 안타깝게도 골반 골절로 라비는 변을 보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배변 패드 위에서 오랜 시간을 힘을 주다가도 변이 안 나오면 포기했다, 조금 있다 다시 배변 패드를 찾는 라비😢 너무 지속될 때는 라비와 병원을 찾아 변을 짜주기도 합니다.
라비의 가족에 대한 마지막 기억은 모르는 마을에서 버려지는 기억일 것입니다. 이제 새로운 추억으로 그 기억을 덮어줄 가족을 기다립니다. 라비의 입양길을 응원해주세요! 또 입양까지 라비가 무너진 몸과 마음을 잘 회복할 수 있도록 결연으로 라비를 품어주세요!
갑옷처럼 굳어버린 털을 둘러쓴 유기견 '라비'
⠀
어느 날 나타난 낯선 사람이 작고 하얀 개 한 마리를 마을에 버리고 떠났습니다. 그나마 마을에 반려견을 키우는 주민들이 많았던 덕분에 하얀 개는 보호자가 있는 마당개들을 따라다니며 먹이라도 얻어먹을 수 있었습니다.
⠀
하지만 갑자기 낯선 동네에 버려진 개는 아무리 먹이를 주어도 마을 사람들 누구에게도 마음을 열지 않았습니다. 자신을 버린 보호자의 차량이라고 생각했는지 마을 사람보다는 오히려 자동차를 따라다니곤 했습니다.
⠀
버려진 개는 먹이를 얻어먹은 덕분에 몇 년을 떠돌면서도 목숨은 겨우 부지할 수 있었지만 길 위에서 사는 동안 긴 털을 스스로 관리할 수는 없었습니다. 털이 뒤엉키고 그 위에 각종 오물이 쌓이면서 털은 갑옷처럼 변했습니다. 하얀 개는 오물과 먼지에 뭉쳐진 털 뭉치를 온몸에 주렁주렁 둘러쓴 채로 유령처럼 마을을 떠돌았습니다.
⠀
카라에서 제보를 받고 현장에 달려가 실제로 목격한 유기견의 상태는 사진보다 심각했습니다. 구조와 치료가 시급했습니다.
⠀
울타리 형태의 덫으로 안전히 구조 후 병원으로 이동해서 검진을 진행한 결과, 동물등록도 되어있지 않았고 대퇴골 탈구와 심장사상충 검사도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차량을 따라다니다가 사고를 당했는지 골반 골절의 흔적도 발견되었습니다. 몸을 둘러싼 굳을 털은 클리퍼로도 제거할 수 없어서 활동가들 여럿이 모여서 하나하나 가위로 일일이 걷어내야 했습니다.
⠀
더 이상 버려진 개로 불리지 않도록 활동가들은 '라비' 라는 이름을 지어주었습니다. 라비의 몸을 갑옷처럼 둘러싸고 있던 털들은 그 무게만 400g에 달했습니다. 몸무게 5kg의 작은 체구에 400g의 털을 누더기처럼 달고 다녀야했습니다.
⠀
이 개에 대해 마을에는 모르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외지인이 와서 버리고 간 개, 사람을 따르지 않는 개, 불쌍한 개로 여겨지는 떠돌이 같은 존재였습니다.
⠀
국내에는 연간 유기 동물이 13만 마리에 이릅니다. 동물을 물건처럼 구입하고 물건처럼 버리는 행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물은 물건이 아니라는 민법 개정안 통과는 물론, 펫샵 동물 판매 금지와 보호소 동물 입양 활성화, 동물등록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감독이 필요합니다. 카라에서는 라비의 치료와 보호 및 입양은 물론 라비와 같은 유기 동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 활동에도 계속 힘쓰겠습니다. 라비의 소식에 계속해서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
*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진/영상을 클릭해주세요!
| 12월 13일
| 11월 26일
| 11월 22일
| 11월 21일
| 11월 10일
카라 더봄센터 인근 동물들의 복지증진을 위한 마을 동물복지 사업에 착수, 캠페인 중 '웅얼'이와 '꿍얼' 남매를 구조했습니다.
⠀
'웅얼'과 '꿍얼'은 웅담리를 떠도는 개가 낳은 강아지 남매입니다. 정처 없이 논과 밭을 떠돌던 어미견은 만삭의 몸으로 집집마다 음식을 구걸하기 어려웠던지 실외에 묶여 지내는 다른 시골개 곁에 자리를 잡고 출산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