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세포배양기술로 동물실험 대체한다"
<이번 개발한 3차원 세포배양이 가능한 미세유체소자>
|
고대 연구팀 네이처 자매지에 논문…실험법 모두 공개 (서울=연합뉴스) 이주연 기자 = 약물의 효과를 정확히 평가하는 세포배양기술이 개발돼 앞으로 동물실험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고려대 기계공학부 정석 교수와 신유진·한세운 박사과정생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로저캠 교수 및 일본 게이오대 수도료 교수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3차원 세포배양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세포 분석을 위해서는 세포를 세포배양접시에서 2차원으로 배양한 뒤 평가하려는 신약을 세포에 넣고 반응을 관찰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3차원으로 구성된 실제 생물체의 반응과 차이가 커서 추가 동물실험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1㎜ 이하의 유체 움직임을 다루는 미세유체기술을 이용해 혈관·신경·간·암 등의 신체 환경을 미세유체소자에 정밀하게 재현했다."> 고대 연구팀 네이처 자매지에 논문…실험법 모두 공개 (서울=연합뉴스) 이주연 기자 = 약물의 효과를 정확히 평가하는 세포배양기술이 개발돼 앞으로 동물실험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고려대 기계공학부 정석 교수와 신유진·한세운 박사과정생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로저캠 교수 및 일본 게이오대 수도료 교수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3차원 세포배양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세포 분석을 위해서는 세포를 세포배양접시에서 2차원으로 배양한 뒤 평가하려는 신약을 세포에 넣고 반응을 관찰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3차원으로 구성된 실제 생물체의 반응과 차이가 커서 추가 동물실험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1㎜ 이하의 유체 움직임을 다루는 미세유체기술을 이용해 혈관·신경·간·암 등의 신체 환경을 미세유체소자에 정밀하게 재현했다.">
<이번 개발한 3차원 세포배양이 가능한 미세유체소자>
|